REVIEW
영화를 읽다
커피 한잔이 섹스에 미치는 영향은?
누구나 한 번쯤 낯선 이와의 하룻밤을 꿈꾼다. 그런데 그 ‘누구나’에 성별과 젠더에 차이는 없다. 결혼 유무도 상관없다. 이 영화를 본 당신이 스스로에게 물어본다면? 커피 한 잔은 당신의 섹스에 얼마나 어떤 영향을 미치는가?
- 2020-08-13
- #갈증
물거품이 되어서야 비로소 보이는 것들
완전한 상태인 공기가 된 인어공주처럼 일상의 폭력을 극복하고 치유하면서, 또한 약한 존재끼리 서로 연대하고 공감하며 스스로 공기의 딸들이 되자는 메시지가 지금의 현실과 직접적으로 맞닿아 있었다.
- 2020-08-12
- #완전한 공기가 된 인어공주
연애라는 신화
다큐멘터리를 마치고 감독은 비로소 자신을 흔들림 없이 긍정하게 되었다. 그런 의미에서 작품 속 유경을 가리켰던 ‘언데이터블 우먼’은 좀 다르게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연애를 못하는 여자가 아니라 다른 사람과 연애할 수 없는 여자, 즉 연애하지 않는 여자로 말이다.
- 2020-08-06
- #연애하지 않는 여자
빛이 있으면 그림자도 있는 법
그 시절 친구 관계는 부모님, 선생님들이 이해 못 하는 감정들이 얽혀있고 단순하게 딱 잘라 말할 수 없는 수많은 이야기가 겹겹이 쌓여있다. 그래서 그런지 <빛>을 보고 나면 단순히 ‘그땐 그랬지’가 아니라 마음에 남는 그때의 친구들과 함께 얼기설기 엮인 감정들이 끌려 올라온다.
- 2020-07-30
- #성장통
어디에나 있지만 어디에도 없었던
프리랜서라는 직업 특성이 이들의 노조 활동을 연대감으로 묶어주었다면, 이들을 잇는 또 다른 고리는 일하는 ‘여자들’이라는 자신이다. 여성이 절대다수를 이루는 직군인 만큼 영화에서 다루는 노동의 문제는 자연스레 ‘방송작가라는 노동자’ 뿐만 아닌 ‘일하는 여자들’로 치환된다.
- 2020-07-23
- #우리가 여기에 있다
사랑도 액션도 물 흐르듯이
다양한 장르의 대중영화 속에 아무렇지도 않게 퀴어가 등장하고 그들의 사랑 또한 물 흐르듯 자연스럽게 지나가는 영화들이 많아진다면 나는 더 이상 ‘퀴어영화’라는 장르에 의문을 갖지 않아도 될 것이다.
- 2020-07-16
- #감각적으로
신화의 전복과 파괴
< The Genesis >에서 무엇보다 눈에 띄는 점은 여성형의 신이 낳는 행위로 세상을 창조하고, 자녀를 낳아 가문을 형성하는 것이 아니라 권위로 세상을 만들어나간다는 것이다. 임채린 감독은 이 작품에서 자궁 또는 내부에서 외부로 나오는 탄생의 공식을 사용하지 않는다.
- 2020-07-09
- #여성의 세계창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