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VIEW 검색 결과
총 28 건 검색
빛이 있으면 그림자도 있는 법
그 시절 친구 관계는 부모님, 선생님들이 이해 못 하는 감정들이 얽혀있고 단순하게 딱 잘라 말할 수 없는 수많은 이야기가 겹겹이 쌓여있다. 그래서 그런지 <빛>을 보고 나면 단순히 ‘그땐 그랬지’가 아니라 마음에 남는 그때의 친구들과 함께 얼기설기 엮인 감정들이 끌려 올라온다.
- 2020-07-30
- #성장통
사랑도 액션도 물 흐르듯이
다양한 장르의 대중영화 속에 아무렇지도 않게 퀴어가 등장하고 그들의 사랑 또한 물 흐르듯 자연스럽게 지나가는 영화들이 많아진다면 나는 더 이상 ‘퀴어영화’라는 장르에 의문을 갖지 않아도 될 것이다.
- 2020-07-16
- #감각적으로
아직 이름이 없는 감정의 소용돌이
우리는 학창시절에, 특히 여성들 사이에서 생성된 감정들의 흐름을 잘 알고 있다. 다만 우리는 여전히 그 감정에 정확한 이름을 붙이지 못했다.
- 2020-07-02
- #욕망에 휘말려
디지털 성범죄의 상처를 딛고 살아남은 혜원이들에게
성범죄가 조심해서 일어나지 않을 수 있는 일이라면 세상에는 성범죄가 없어야 한다. 성범죄가 조심하지 않아서 일어난 일이라면 왜 여성에 대한 성범죄율만 압도적으로 높은 것인가? 여성은 살아 숨 쉬는 동안 매일 조심하고 또 조심한다. 가장 편안해야 할 집에서도, 믿고 있는 사람과 함께하는 그 순간까지도. 얼마나 더 조심해야 하는 걸까?
- 2020-06-18
- #더 이상은
걷고 싶어 걷고, 행복하고 싶어 행복을 찾을 뿐
행복은 누구의 것인지, 나와 너는 무엇으로 행복한지, 끊임없이 말을 건네며 걸어 나간다. 이는 서로 간의 질의응답이기도 하고, 어떤 이의 고백이기도 할 것이다. 행복은 어마어마한 게 아니라는 이들의 말처럼, 일상에서 가져온 솔직한 감정을 캐치볼처럼 주고받는 두 사람을 따라가며 우리는 한 번쯤 자신에게 그 질문을 던져보고 있을지도 모른다. 행복의 정체는 무엇인지, 나는 행복한지, 우리는 행복을 원하는지.
- 2020-06-18
- #일상 여행자의 기록
신화의 전복과 파괴
< The Genesis >에서 무엇보다 눈에 띄는 점은 여성형의 신이 낳는 행위로 세상을 창조하고, 자녀를 낳아 가문을 형성하는 것이 아니라 권위로 세상을 만들어나간다는 것이다. 임채린 감독은 이 작품에서 자궁 또는 내부에서 외부로 나오는 탄생의 공식을 사용하지 않는다.
- 2020-07-09
- #여성의 세계창조
그녀의 고민은 계속해서 변화할 것이다
그레이가 용기 내 방문한 레즈비언 바에서 줄리아를 만났을 때 어찌나 반갑던지! 헤더 그레이엄은 물론이고 레이첼 쉘리, 브리짓 모나한까지. 퀴어 영화에 지체 없이 출연하여 필모그래피를 채우는 여성 배우들을 보는 것은 언제나 기쁘고 반가운 일이다.
- 2020-06-11
- #Gray Matters
무명의 자국을 기억하고 말하는 방법
영화의 첫머리에서 감독은 말한다. ‘모든 시간은 지나간다. 지나간 시간 중에는 기억되지 못하는 시간도 있다.’ 무명의 자국을 어떻게 기억하고 말해야 할지 다시금 이 질문을 떠올리며, 일상과 역사가 무관하거나 나와 멀리 있지 않음을 깨달아 나가야 한다. 이로부터 기억의 복원은 시작된다.
- 2020-05-07
- #영원히 기억해야 할
결코 지워질 수 없는 존재들
동일방직 오물투척 사건 당시 찍힌 사진은 지워질 뻔했던 여성에 대한 남성과 국가의 폭력을 하나의 이미지로 또렷이 기록해냈고, 그렇게 영화의 중심 소재가 되었다. 마찬가지로 동일방직 사건을 다룬 해당 작품 역시 사진을 배우는 여공들의 모습을 재현함으로써 그때의 일을 기억한다. 하지만 폭력 그 자체를 묘사하지는 않는다. 영화는 모욕적인 사건을 노골적으로 묘사하는 것이 아니라 여성 노동자 개개인에 집중하고 그들의 애환을 따뜻하게 그려냄으로써, 노동운동과 민주화 한복판에 있는 여성들의 존재감을 부각하는 방식으로 그 사건을 기억해낸다.
- 2020-04-30
- #여성노동의 역사
모든 것을 스스로 선택할 자유를 위하여
에스티는 말한다. 자신은 이곳에서 태어났기 때문에 선택하지 못했지만, 아이는 본인의 삶을 선택할 수 있길 바란다고. 하지만 여전히 여성이 소수자인 세상에서 사는 나는 그 말에 온전히 동의하기 어려웠다. 곧 태어날 에스티의 아이는, 과연 모든 것을 자신의 의지에 따라 선택할 수 있을까?
- 2020-04-30
- #또 다른 ‘레이첼들’